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
  • 과학교육에 있어서 필기시험의 맹점과 그 대안등록일 : 2001/01/07
  • 분석 화학교육의 결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수단은 필기 시험이다. 이것은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과연 필기시험 만으로 학생의 수업 성과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여 필기시험의 구조적 맹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글이 미국화학학회에서 발간하는 분석화학지(Analytical Chemistry)에 기고 되었다.

    필기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분석 화학도가 실제 분석화학 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술을 갖추었다고 볼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런 시험성적과 실제 능력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좀 더 다른 것들 즉, 향후 직업전선에서의 고용주가 가치를 두는 실질적인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험 방법을 확대하는 것이다. 여기서 실질적 평가 대상이 되는 능력들이란 창조성 또는 원론적 사고 능력, 동기화, 독립성, 독창성, 생각을 말로 표현하고 글로 적을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는 능력, 다른 분야와도 협력하는 습관 그리고 성장 잠재력 같은 것들이다.

    필기시험은 구조적으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 문제해결 능력 그리고 독립적인 사고를 평가하기 어려우며 단지 암기력과 남이 표현한 것을 옮겨 적는 능력만을 평가한다는 맹점을 갖고 있다. 대체로 시험 시간은 제한되어 있고 배운 내용에 따라서만 대답해야 하며 설명이나 논의를 할 기회는 거의 주어지지 않는다. 단순히 정보를 주입시키고 그대로 토해내게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시험이 끝나면 배운 내용을 바로 망각하고 마는 현상이 되풀이된다.

    이러한 시험 방법을 구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시험에 출제될 것 같은 내용에만 집중한다는 것이다. 교사는 일반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반적인 내용에 관하여만 설명하고 특별한 질문은 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시험을 학생들의 수업능력을 개선하고 평가치를 높이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가 제기되며 그 대답은 ‘예’ 이다. 시험의 방법을 다양화하여 영역을 넓히면 되는 것이다. 특히 분석화학 교육에 있어서는 실험실적 요소를 가미하고 문제의식에 기초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 중 한가지 전략은 시험에 출제될 내용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문제를 모두 망라하는 일련의 문제 군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미리 나누어 주는 것이다. 또 다른 대안은 학생들이 시험에서 노트와 책 그리고 기타 자료들을 참조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부가적인 방법은 학생들이 정량적인 문제에 대답하는 과정에 포함되는 단계들을 소개하거나 설명할 수 있는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학생들에게 단순 암기보다는 이해를 북돋우어 준다. 문제에 대한 소론 작성, 숙제 그리고 유연한 시간 허락 등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방법들이다.

    또 다른 방법은 문제의 난이도를 구분하여 출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학생들이 시험에서 배우는 정도를 평가할 수 있고 학생 개개인의 이해도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먼저 본 시험에 비하여 난이도가 높거나 좀 더 어려운 개념으로 재 시험을 실시하여 학생의 진보 정도를 가늠하는 것은 학습에 있어서 예외적인 동기부여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구두 시험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구두 시험은 학생이 자유로이 이야기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 받고 정확한 대답을 할 수 있게 되며 교사는 학생들의 지식 영역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필기 시험과 구두 시험을 병행하는 사례를 예로 들면 학생들에게 문제를 보여주고 답을 각자 적게 한 다음 이 문제를 토론의 장으로 끌어들인다. 문제에 대하여 학생이 질문할 수 있고 질문의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여 대답을 하면 이에 대한 다른 학생들의 의견도 들을 수 있게 된다. 약 두시간에 걸친 시험 시간동안 학생들은 모두 동등하게 참여하고 싶어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필기 시험을 없앨 수는 없으나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의 형태를 확대하여 수업을 기름지게 하고 학생들의 실질적인 능력들을 다양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 문헌
    1. Wiggins, G. P. Assessing Student Performance: Exploring the Purpose and Limits of Testing; Jossey-Bass: San Francisco, CA, 1993.
    2. Weber, E. Student Assessment That Works: A Practical Approach; Allyn and Bacon: Boston, MA, 1999.
    3. Angelo, T. A.; Cross, K. P. Classroom Assessment Techniques: A Handbook for College Teachers; Jossey-Bass: San Francisco, CA, 1993.
    4. McKeachie, W. J.; Pintrich, P. R.; Lin, Y.-G., Smith, D.A.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ollege Classroom: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To Improve Postsecondary Teaching and Learning: University of Michigan–Ann Arbor, MI, 1986; p 76.
    5. Wenzel, T. J. Anal. Chem. 1999, 71, 693 A–695 A.
  • 출처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